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망각이론 망각에 대한 이론 - 쇠잔 이론 사용되지 않는 정보는 시간이 지나면서 잊힐 확률이 높아진다. 망각과 파지 기간의 이러한 관계에 주목한 이론이 쇠잔(decay)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기억은 중추신경계에 어떤 변화를 일으켜 기억 흔적을 남기게 된다. 기억 흔적은 사용하지 않으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신진대사 과정에 의해 점차 희미해져 가고 결국 사라지게 된다. 이처럼 사용하지 않으면 망각이 일어난다는 측면에서 불용(disuse) 이론이라고 한다. 쇠잔 이론에 따르면 망각은 부호화나 인출 단계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저장 단계에서 일어난다. 쇠잔 이론은 설득력 있는 이론이지만, 학습과 기억 검사 간의 파지 기간 동안 발생하는 경험에 따라 기억 정도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설명하지 못한다. 즉 시간이 지난 .. 2022. 6. 19.
기억이론 '기억한다'라는 표현은 두 가지 상이한 다른 기억 과정을 포함한다. 기억 만들기와 기억 끄집어내기가 그것이다.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의 처리를 부호화(encoding)라고 하고, 저장된 정보를 끄집어내는 단계의 처리를 인출(retrieval)이라고 한다. 기억이 잘되고 안 되는 것을 결정하는 주요 과정이 부호화와 인출이다. 부호화와 인출 - 처리 수준 Craik와 Lockhart의 처리 수준(levels of processing) 이론에 따르면, 성공적인 파지를 결정하는 것은 단순한 되뇌기의 양이 아니라 항목을 부호화할 때 수행된 조작의 유형이다. 자료를 부호화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가능하며, 이때 사용되는 각 부호는 질적으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초기 정보 처리 과정에서는 물리적 세부 특징.. 2022. 6. 19.
장기기억 장기 기억은 단일 체계가 아니라 여러 하부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관점을 '기억 체계 이론(memory system theory)'이라고 하는데, 잘 알려진 체계는 의미 기억과 일화 기억, 서울 기억과 절차 기억이 있다. 의미 기억과 일화 기억 의미 정보가 표상된 기억을 의미 기억이라고 하며, 이는 일화 기억과 대비되어 구분된다. 일화 기억은 개인의 경험, 즉 자전적 사건에 대한 기억으로서 사건이 일어난 장소, 시간, 상황 등의 맥락을 함께 포함한다. 반면 의미 기억은 대상 간의 관계 또는 단어 의미 간의 관계에 관한 지식으로서 과거에 경험한 특정 사건과 관련되어 있지 않다. 즉 의미 기억은 특정 시점이나 맥락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 '강아지는 포유류인가?' 혹은 '미국에서 가장 높은 빌딩은 무엇인.. 2022. 6. 19.
작업기억 작업 기억은 단기 기억을 대체하여 제안된 기억 체계다. Baddeley의 작업 기억 모형에 따르면 작업 기억은 3가지 성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조음 루프' 또는 '음운 루프'로서 언어 이해와 청각적 되뇌기를 위해 속의 말을 잠시 유지한다. 둘째, '시공간 스케치판'으로서 시공간적 정보를 잠시 유지한다. 셋째, '중앙 집행 기로'서 주의 통제 및 판단 과정을 개시하고, 미래 행동 계획을 수립하며 언어 이해와 추론 활동을 주관하고 장기 기억으로부터의 인출 및 장기 기억으로 정보를 전이시키는 작업을 담당한다. 조음 루프 조음 루프는 '음운 저장고'와 '조음 통제' 과정의 두 하위 성분으로 구성된다. 음운 저장고는 말소리 정보를 짧은 시간 동안 파지하며, 조음 통제 과정은 내적 되뇌기를 통제한다. 음운 저장.. 2022.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