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인지 신경 과학의 주의 연구2 중뇌의 상구는 안구 이동을 지원하는 뇌 신경 구조물이다. 상구가 손상된 환자들은 눈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빠르게 움직이는 도약 안구 운동에서 장애를 보인다. 눈을 빨리 움직이기 힘든 방향에 사전 단서를 제시하면 환자들은 표적에 대해 느린 반응 시간을 보였다. 이 결과는 상구의 손상 때문에 주의를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크게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뇌의 시상침이 손상된 환자들은 두정엽 손상자나 중뇌 손상자의 반응과 다른 결과를 보였다. 시상침 손상자들은 손상된 부위의 반대편에 타당한 표적이 제시되었을 때 느린 반응 시간을 보였다. 이 결과는 두정엽 손상자들의 반응 시간과 대조되는데, 시상침 손상자들은 표적에 주의를 잘 몰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 위치에서 주의가 .. 2022. 7. 9.
인지 신경 과학의 주의 연구1 인지 신경 과학은 인지심리학과 인지과학의 이론과 방법론으로 뇌, 행동, 그리고 인지의 관계를 연구한다. 인지 신경 과학 연구자들은 인간의 신경 해부 구조가 지각, 기억, 주의, 학습과 같은 인지 과정에 어떤 제약을 주는지를 밝힌다. 이 분야 연구자들은 뇌 손상법, 뇌파 측정 기업 등을 사용하여 주의, 그리고 주의와 관련된 표상들을 처리하는 심리 과정들의 배후에 각기 어떤 네트워크가 있고, 이들 신경망의 관계를 연구한다. 시각주의(Visual attention)는 눈의 이동과 함께 작용하는데, 눈을 움직이면 주의가 가는 위치가 달라진다. 그러나 눈을 움직이지 않고도 시각주의를 이동할 수 있는데, 이를 시각주의의 내적 이동(internal shift)이라고 한다. 한 연구가는 이 이동을 연구하기 위해 사전 .. 2022. 7. 9.
언어의 산출과 장애 언어의 정보가 청자의 기억에 표상을 구성하는 과정이 이해라고 하면, 화자의 기억에 표상된 의미를 표현하는 과정을 산출이라 한다. 언어가 지니고 있는 상징적 의미는 이해와 산출의 두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두 과정이 연결고리처럼 순환하는 과정이 일어날 때 비로소 양자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언어의 산출 과정은 처리 방향에서 보면 이해 과정과 상반되며, 연구 방법에도 차이가 있다. 이해 과정은 참가자에게 자극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면 된다. 자극의 조작이 가능하고 그 결과를 반응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산출 과정은 언어 생성을 위한 생각이나 의도를 조작하기가 어렵다. 단지 화자가 산출한 언어의 내용을 통해 산출하고자 하는 사고의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만 가능하다. 산출 과.. 2022. 7. 2.
언어 산출 언어는 우리에게 복잡한 사고, 의식하지 못하는 의도, 미묘한 감정 등의 심적 내용을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되지만, 언어 자체가 생각과 의도, 감정의 심적 내용을 직접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언어는 표현된 상징 단서를 통해 그 언어의 의미를 해석하게 하는 심적 과정을 수반한다. 언어의 이해와 산출에서 생각이나 사고의 전환, 생각이나 사고의 표현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더욱이 두 과정이 서로 연결되어야만 성공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언어와 의사소통 두 사람 이상이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공간을 공유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유된 심적 상황을 구성해야 한다. Grice(1975)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협동 원리(cooperativ.. 2022.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