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 단기기억 일차 기억, 즉시 기억, 단기 기억, 일시적 기억, 작업 기억(working memory : WM) 등의 용어는 동일한 기억 성분이나 인간 정보처리의 동일한 양상을 언급하는 명칭이다. 특히 단기적인 작업 기억은 전화번호 책자에서 특정 전화번호를 찾아 번호 키를 누를 때까지 기억하는 일 등에서 이루어진다. 자극은 맨 처음 감각 기억에 등록되고, 이 가운데 선택적 주의 집중을 받은 일부 정보가 작업 기억에 들어온다. 작업 기억은 우리가 의식하고 자각하는 첫 번째 기억 체계인데, 여기에서 일어나는 어떤 정신 과정은 의식되지 않고 자동으로 일어난다. 즉 자각하는 것은 기억의 내용이며 처리 과정이 반드시 자각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기억의 단기적 성분에 대한 새로운 명칭과 이론적 개념으로서 작업 기억이 1970년.. 2022. 6. 19. 다중기억이론 1960년대에 정보 처리 관점에 근거하여 기억 체계의 기본 구조가 여러 개의 기억 저장고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는 다중 기억 이론들이 제안되었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모형이 Atkinson과 Shiffrin의 모형인데, 그 영향이 매우 커 흔히 기억의 modal model이라고 부른다. 이 모형은 기억 저장고들과 통제 과정들로 이루어졌는데, 기억 저장고들은 시간 흐름으로는 배열된 일련의 단계들로 볼 수 있고, 통제 과정들은 사람에 의해 통제되는 능동적인 정보 처리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다중 기억 이론에서 제안하는 기억 저장고 중 '감각 기억'은 정보를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저장하는 기억으로서, 감각 정보가 인지 체계에 처음 등록되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감각 등록기'라고 한다. 감각 양상에 따라 상이한 감각.. 2022. 6. 19. 기억 연구의 두 전통 기억에 관한 연구는 크게 Ebbinghaus 전통과 Bartlett 전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 Ebbinghaus 전통은 기존 지식의 영향을 받지 않는 순수한 연합의 형성 과정을 연구하고자 하지만, Bartlett 전통은 기억을 기존 지식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간주하고 기존 지식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Ebbinghaus의 연구 Ebbinghaus는 단어와 같이 의미 있는 것이 더 잘 기억된다는 사실을 알고 의미의 영향을 받지 않는 순수한 기억 흔적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DAX, BUP, LOC와 같은 무의미 철자를 무려 2,000개 이상이나 만들어 학습 재료로 삼았다. 여러 개의 무의미 철자로 이루어진 목록들을 미리 만든 뒤 이 목록들을 학습하고 기억해 내는 실험을 하였다. 기억 실험은.. 2022. 6. 19.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