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2 (4) 단어-비단어 효과 비단어에 대한 수행은 단어에 비해 좋지 않은데, 비단어의 판단에 드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길다. 음독 과제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이것은 빈도 효과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비단어란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는, 사용 빈도가 무한하게 낮은 문자열이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단어이면서도 수행상 여러 가지 차이를 가져오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아무 철자나 나열한 단어"와 "brain이라는 단어에서 n을 s로 바꾼 단어"는 둘 다 영어의 단어가 아니지만 후자를 비단어로 판단하는 시간은 전자를 비단어로 판단하는 시간보다 길다. 후자는 비단어이지만 실제의 단어와 유사한 속성들을 갖고 있는데, 후자는 발음이 용이하면서 문자의 배열 또는 음소의 배열이 영어 규.. 2022. 6. 23.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1 평균적으로 한 사람이 성인이 되기까지 습득하는 단어의 수는 약 5만 개라고 한다. 그만큼 우리 머릿속에는 엄청난 수의 단어에 대한 지식이 축적되어 있는데, 심리학자들은 이것을 심성 어휘집(mental lexicon) 또는 어휘 기억(lexical memory)이라고 부른다. 심성 어휘집의 구조와 기능을 해명하는 것이 단어 인지 과정 연구의 목적이다. 단어 인지 과정의 특징 우리가 어떤 단어를 듣거나 보고 그것이 어떤 단어라는 것을 아는 것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인 심성 어휘집에서 특정한 단어를 찾아낸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매우 신속한 작업이며 오류가 거의 없다. RSVP 제시법(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 화면에 한 단어씩 빠르게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초당 .. 2022. 6. 22. 말소리 지각 말소리 지각은 말소리의 크고 작은 여러 단위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말소리 지각의 연구에는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는데, 먼저 말소리 자극에는 불변성이 결여되어 있다. 말소리의 음향적 특성은 맥락에 따라 발화자에 따라 쉽게 변한다. 또한 분절에 관한 것인데, 자극으로 주어지는 말소리는 연속적인 자극이지만 우리가 지각한 결과는 불연속적인 언어 단위들의 연결이다. 불변성의 결여 우리가 동일한 것으로 지각하는 말소리는 그 음향적 특성이 맥락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가수'의 첫소리인 'ㄱ'의 음향적 특징은 '연기'의 'ㄱ'과 매우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에게는 똑같은 말소리, 즉 동일한 음소로 지각된다. '가수'라는 단어를 발음할 때 모음과 자음을 순서대로 발음하지 않고 동시에 빠르게 발음하는데, 이렇.. 2022. 6. 21. 언어와 사고3 언어 특수성과 인지 보편성 지각과 기억이 아니라 좀 더 고차원적 사고와 언어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문장의 어순(word order)에서 그 실마리를 찾아볼 수 있다. 단어는 특정한 대상을 지칭하는 일종의 상징이다. 하지만 어떤 사건이나 현상을 기술하기 위해서는 단어 하나로 불가능하고 여러 단어를 나열해야 한다. 단어를 배열하는 규칙을 통사 규칙이라고 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규칙 중 하나가 어순이다. 한국어는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영어는 '주어-동사-목적어'의 어순을 사용한다. 지구상에는 수천 개의 언어가 존재하지만 실제로 사용되는 기본 어순은 네 가지에 불과하다. (비율 약 44%) 주어 - 목적어 - 동사 : 영어, 중국어, 독일어 (비율 약 35%) 주어 - 동사 - 목적어 : 한국어, .. 2022. 6. 2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