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 문장 이해 과정 문장 처리 장치 단어 인지 과정을 거쳐 한 문장 속에 포함된 각 단어의 뜻과 문법적 범주가 작업 기억에 저장되면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그 문장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언어의 특징은 단어들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조합되며 여러 가지의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인데, 모든 언어에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있고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기능어(function words)이다. 한국어의 경우 여러 형태의 조사나 어미 등이 바로 각 단어가 서로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를 나타내 주는 문법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런 장치에 관한 지식과 함께 문장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한다는 규칙을 모든 사람이 갖고 있다. 즉 입력된 언어 정보와 우리가 가진 언어에 대한 지식이 함께 사용되고 동원.. 2022. 6. 25. 단어 인지 과정의 모형2 (3) 단어 인지 모형의 실제 logogen model logogen model은 가장 널리 알려진 단어 인지 모형으로, 1960년대 말 Morton이 제안한 모형이다. 이 모형은 크게 logogen 시스템과 인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logogen 시스템은 수많은 logogen의 집합이다. logogen은 하나의 단어를 표상하고, logogen 시스템에 포함된 logogen의 수는 개인이 태어나서 지금까지 습득한 단어의 수와 동일하다. 각 logogen은 그것이 표상하고 있는 단어를 인지하는 장치이며, 하나의 신경세포로 비유할 수 있다. logogen은 적절한 입력을 받으면 활성화되는데, 활성화의 강도는 입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활성화의 수준이 어느 수준 이상이 되면 logogen은 발화(fir.. 2022. 6. 25. 단어 인지 과정의 모형1 (1) 자율적 모형과 상호작용 모형 언어 이해 과정에 대한 모형은 각 모형이 가정하고 있는 하위 시스템이 어떠한 성질을 가졌는지에 따라 자율적 모형과 상호작용 모형으로 나눌 수 있다. 자율적 모형에는 문장 이해 과정은 몇 개의 하위 모듈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 모듈은 다른 모듈로부터 분리된 독자적인 정보처리 방식을 가진다. 모듈 간의 관계는 계층적이지만 상위 모듈이 하위 모듈의 처리를 간섭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Forster(1979)가 제안한 문장 이해 모형에서는 '단어 처리기', '통사 처리기', '의미 처리기' 3개의 모듈이 있다. 여기에서 단어 인지는 단어 처리기에 의해 수행되며, 단어 간의 문법적 관계에 대한 처리는 통사 처리기에서, 그리고 문장 전체의 의미 해석은 의미 처리기에서 이루어진다... 2022. 6. 24.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3 단어 인지의 현상 - 문맥과 단어 인지 (1) 어휘 점화 효과 먼저 제시된 단어가 나중에 제시된 단어의 처리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점화 효과(priming effect)라고 한다. 먼저 제시된 단어를 점화 단어(prime)라 하고, 나중에 제시된 단어를 표적 단어(target)라고 부르는데, 점화 효과에는 촉진 효과와 억제 효과가 있으나 촉진적인 것만 점화 효과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촉진 효과란 어휘 판단이나 음독과 같은 수행을 끌어올린다는 의미이며, 억제 효과란 그 반대를 의미한다. 어휘 점화 효과는 점화 단어와 표적 단어가 연상관계에 있을 때 일어나는 문맥 효과다. 예를 들어 점화 단어로 teacher를 제시하고 표적 단어로 student를 제시한 조건과 점화 단어로 cheeze를 제시하고 표적 단.. 2022. 6. 24.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