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심리학

단어 인지 과정의 모형2

by 온우주 2022. 6. 25.

(3) 단어 인지 모형의 실제

logogen model

 logogen model은 가장 널리 알려진 단어 인지 모형으로, 1960년대 말 Morton이 제안한 모형이다. 이 모형은 크게 logogen 시스템인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logogen 시스템은 수많은 logogen의 집합이다. logogen은 하나의 단어를 표상하고, logogen 시스템에 포함된 logogen의 수는 개인이 태어나서 지금까지 습득한 단어의 수와 동일하다. 

 각 logogen은 그것이 표상하고 있는 단어를 인지하는 장치이며, 하나의 신경세포로 비유할 수 있다. logogen은 적절한 입력을 받으면 활성화되는데, 활성화의 강도는 입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활성화의 수준이 어느 수준 이상이 되면 logogen은 발화(fire)하는데 마치 신경세포가 일정 수준 이상의 입력을 받으면 발화하는 것과 같다. 단어를 인지한다는 것은 수많은 logogen 중에서 어떤 특정한 logogen이 발화한 상태를 의미한다.

 각 logogen이 받는 입력은 두 방향에서 오는데, 하나는 자극의 감각적 분석으로부터 오고 또 하나는 인지 시스템으로부터 온다. 인지 시스템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언어 지식 또는 일반 지식의 집합체로서, 문맥이나 상황을 해석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단어를 예측한다. 그리고 예측된 단어를 표상하는 logogen의 활성화 수준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의미에서 logogen model은 상호작용을 통한다고 할 수 있다. 

 logogen model에서 단어의 사용 빈도 효과는 각 logogen의 휴지 활성화(resting activation) 수준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자주 사용되는 단어를 표상하는 logogen의 휴지 활성화 수준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입력에 의해서도 발화가 가능하다. 문맥 효과의 대부분은 인지 시스템에 의한 것이지만 어휘 점화 효과와 같은 것은 logogen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호작용 활성화 모형 (IA 모형)

 해당 모형은 logogen model과 유사한 발상의 모형인데, 병렬 분산 처리(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를 이용한 여러 모형의 효시라고 할 수 있다. IA 모형에서 정보처리는 기본적인 처리 단위인 마디(node), 그리고 이 마디를 이어주는 연결(link)에 의해 이루어진다. 마디는 하나의 신경세포 같은 것으로 그 활성화의 수준은 입력에 따라 변화한다. 입력은 흥분성(excitatory)과 억제성(inhibitory)이 있다. 흥분성 입력은 흥분성 연결을 통해 들어오며, 억제성 입력은 억제성 연결을 통해 들어온다.

 IA 모형에서는 마디들이 마치 벽돌과 같은데, 가장 아래층에 있는 마디들이 세부 특징 마디이며, 그 위자 문자 마디, 가장 위에 있는 것이 단어 마디이다. 세부 특징 마디들은 자극을 감각적으로 분석하는 처리기로, 문자의 특징이 되는 직선과 사선, 곡선 등에 반응한다. 문자 마디는 영문자를 표상하는데, 문자 마디의 수는 영문자의 수만큼 존재한다. 단어 수준의 마디들은 단어를 표상하며 그 수는 개인에 따라 다른데, 한 개인이 지금까지 습득한 단어의 수만큼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 : 인지심리학 / 학지사)

'인지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 산출  (0) 2022.06.25
문장 이해 과정  (0) 2022.06.25
단어 인지 과정의 모형1  (0) 2022.06.24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3  (0) 2022.06.24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2  (0) 2022.06.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