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심리학

단어 인지 과정의 모형1

by 온우주 2022. 6. 24.

(1) 자율적 모형과 상호작용 모형

 언어 이해 과정에 대한 모형은 각 모형이 가정하고 있는 하위 시스템이 어떠한 성질을 가졌는지에 따라 자율적 모형과 상호작용 모형으로 나눌 수 있다. 자율적 모형에는 문장 이해 과정은 몇 개의 하위 모듈에 의해 이루어진다. 각 모듈은 다른 모듈로부터 분리된 독자적인 정보처리 방식을 가진다. 모듈 간의 관계는 계층적이지만 상위 모듈이 하위 모듈의 처리를 간섭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Forster(1979)가 제안한 문장 이해 모형에서는 '단어 처리기', '통사 처리기', '의미 처리기' 3개의 모듈이 있다.

 여기에서 단어 인지는 단어 처리기에 의해 수행되며, 단어 간의 문법적 관계에 대한 처리는 통사 처리기에서, 그리고 문장 전체의 의미 해석은 의미 처리기에서 이루어진다. 각 모듈은 하위 모듈로부터 입력받지만, 하위 모듈의 처리를 지시하거나 간섭할 수 없다. 따라서 여기서 정보처리의 흐름은 아래에서 위로 나아간다. 

 자율적 모형에 대립하는 것은 상호작용 모형이다. 여기에서 문장 이해는 여러 하위 처리기들의 동시다발적 작업과 이들 사이의 광범위한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위 처리기들은 처리하는 정보의 수준에 따라 음운 처리기, 단어 처리기, 통사 처리기 의미 처리기 등이 존재한다. 여기에서 상호작용이란 어떤 처리기가 그보다 하위 처리기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뿐만 아니라 상위 처리기로부터 오는 정보도 입력받고 있으며, 이것이 처리에 즉시 반영된다는 것이다. 즉 여기에서 정보 처리의 흐름은 양방향이다.

(2) 단어 인지의 시간 경과

 단어 인지는 대단히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처리 양상의 변화를 정확하게 추적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단어 인지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밝히려는 연구들이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료는 다의어(ambiguous words)다. 다의어란 보통 우리가 동음이의어라고 부르는 것으로 예를 들어 '눈'이라는 다의어는 하나의 표기와 발음으로 'snow'라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고, 'eye'라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적절한 문맥이 제시되면 우리는 그 중 한 가지 의미로 그 단어를 이해한다. 즉 다른 한쪽의 의미가 무시된다.

 다의어가 제시된 직후에는 그 다의어가 가진 모든 의미가 활성화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문맥 정보가 고려되어 문맥에 적합한 의미만이 선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면 문장 중의 단어를 인지하는 과정이 자율적인지 상호작용을 통하는지 따져보면, 처리의 시간 경과와 더불어 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의어 예시처럼 초기 단어 의미 활성화 과정은 문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자율적이며, 이어 나타나는 단어 의미 선택의 과정은 문맥에서 추출된 상위 수준의 정보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호작용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 : 인지심리학 / 학지사)

'인지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 이해 과정  (0) 2022.06.25
단어 인지 과정의 모형2  (0) 2022.06.25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3  (0) 2022.06.24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2  (0) 2022.06.23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1  (0) 2022.06.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