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심리학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3

by 온우주 2022. 6. 24.

단어 인지의 현상 - 문맥과 단어 인지

(1) 어휘 점화 효과

 먼저 제시된 단어가 나중에 제시된 단어의 처리에 영향을 주는 현상을 점화 효과(priming effect)라고 한다. 먼저 제시된 단어를 점화 단어(prime)라 하고, 나중에 제시된 단어를 표적 단어(target)라고 부르는데, 점화 효과에는 촉진 효과와 억제 효과가 있으나 촉진적인 것만 점화 효과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촉진 효과란 어휘 판단이나 음독과 같은 수행을 끌어올린다는 의미이며, 억제 효과란 그 반대를 의미한다. 

 어휘 점화 효과는 점화 단어와 표적 단어가 연상관계에 있을 때 일어나는 문맥 효과다. 예를 들어 점화 단어로 teacher를 제시하고 표적 단어로 student를 제시한 조건과 점화 단어로 cheeze를 제시하고 표적 단어로 student를 제시한 조건을 비교해 보면, 동일한 표적 단어 student에 대한 반응은 어휘 판단 과제 및 음독 과제에서 모두 점화 단어가 teacher일 때 빨랐다. 영어 단어 teacher와 student는 강한 연상관계가 있으나, cheeze와 student 사이에는 별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연상관계가 강할수록 점화 효과도 크다.

 어휘 점화 효과의 근거로 활성화의 확산(spreading activation)이 가장 유력하다. 이는 심성 어휘집의 단어들이 네트워크를 만들고 있으며, 한 단어의 활성화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웃 단어로 전파되어 간다는 것에 기초한다. 그러나 단어 간의 활성화 전파는 심성 어휘집 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또 다른 네트워크인 의미망도 어휘 점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의미망이 표상하는 것은 단어가 아니고 개념들인데, 그러한 점에서 심성 어휘집과 다르다.

(2) 통사적 문맥의 효과

 통사적 문맥(syntatic context)도 단어 인지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점화 단어와 표적 단어가 통사적으로 적절하게 연결될 수 있는 조건에서(ex. he said) 그렇지 않은 조건 (the said)에 비해 표적 단어 said에 대한 반응이 빨랐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문맥의 문장에서 표적 단어만 다르게 제시했을 때 문맥에 근거한 통사적 예측이 단어의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조동사 must 뒤에 동사가 나오는데, 명사인 표적 단어를 제시하면 표적 단어에 대한 반응이 느렸다.

(3) 문장 문맥의 효과

 선행하는 다수의 단어가 표적으로 제시된 단어의 인지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사례로서 문장 문맥(sentential context)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의미적 문맥이라고도 부른다. 문장 문맥 효과를 어휘 점화 효과와 혼동하여서는 안 되는데, 선행하는 단어들과 표적 단어 사이에는 연상관계 또는 의미적 관련성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장 문맥 효과는 어휘 지식 또는 심성 어휘집 구조의 반영이라고 보기 어렵다. 문장 문맥 효과는 오히려 세계 지식, 즉 세상사에 대한 일반적 경험에 근거한 기대 효과라 생각한다.

 

(참고 : 인지심리학  / 학지사)

'인지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어 인지 과정의 모형2  (0) 2022.06.25
단어 인지 과정의 모형1  (0) 2022.06.24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2  (0) 2022.06.23
시각적 단어 인지 과정1  (0) 2022.06.22
말소리 지각  (0) 2022.06.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