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 언어와 사고2 언어가 지각과 기억 과정에 미치는 영향 언어와 인지 혹은 사고의 관계에 관한 언어 상대성 가설은 색상 지각과 기억이 언어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색상은 크게 초점 색(focal color, 11개의 기본색 - 흰색, 검은색, 노란색, 빨간색)과 비 초점 색으로 분류된다. 초점 색은 사람들이 자주 접하는 대표적인 색이며, 비 초점 색은 초점 색의 사이에 위치하는 사용 빈도가 낮은 중간색들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비 초점 색보다 초점 색을 정확하게 회상할 수 있다. 만약 언어가 색상의 지각을 결정한다면 색상 어휘가 풍부한 문화권의 사람들과 빈약한 문화권의 사람들은 모든 색을 'mola'와 'mili'라는 언어로만 표현하기 때문에 다양한 색 표현 단어를 가진 영어를 사용하는 .. 2022. 6. 20. 언어와 사고1 언어의 연구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 중 하나는 언어라는 형식과 언어가 담는 내용 간의 복잡하고 복합적인 관계다. 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생각을 할 때 가만히 관찰하면 일종의 혼잣말을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다. 남에게는 들리지 않는 자신에게 말을 하는 것과 같은데, '사고'란 혼잣말과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인지 치료의 창시자인 Aaron T. Beck은 우리의 감정과 사고는 내적 언어에 의해 일어난다고 하였다. 그렇다면 사고는 곧 언어 과정일까? 언어가 없어도 우리는 사고를 할 수 있을까? 우리는 말과 글을 언어라고 표현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것은 특정한 언어(예를 들어 '한국어')이다. 이 언어는 문화적인 테두리 안에서 습득되며 필연적으로 문화적인 특성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 언어, 인지, .. 2022. 6. 20. 언어의 이해 인지 심리학은 인간의 머릿속에 들어 있는 지식의 실체와 그 이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여기에서 '지식'은 인간의 지식 중에서 아주 큰 부분을 차지하는 '언어 지식'이다. 한국어를 말하고 들을 수 있는 것은 한국어에 대한 지식이 머릿속에 있기 때문이다. 언어 지식의 습득과 사용을 이해하는 것은 지식 일반의 습득과 이용을 이해하고자 하는 인지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언어는 일종의 기호 체계이다. 언어의 기호는 음성일 수도, 문자일 수도 있다. 기호와 대상의 관계는 임의적이지만 기호의 궁극적 목표는 의미 전달에 있다. 기호는 그 수가 유연하지만 연결 규칙의 반복 적용에 의해 무한한 언어 표현을 만들어 내는 엄청난 생산력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런 언어 표현을 통해 인간은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초.. 2022. 6. 20. 기억상실증 일화 기억과 관련된 기억상실증은 크게 역행성 기억상실과 순행성 기억상실로 구분된다. 전자는 뇌 손상 이전에 획득한 정보의 손실을 말하며, 후자는 새로운 일화 기억을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기억상실증 환자의 경우 외현 기억에는 심한 손상을 보이지만 암묵 기억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다. 암묵 기억은 이전 경험에 대한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인출 노력 없이 인지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억을 말한다. 주로 절차 기억이 필요한 지각-운동 기술이 여기에 해당한다. 역행성 기억상실증 환자는 자전적 기억이 손상된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자신이 운전이나 골프를 할 수 있는지 기억하지 못한다. 그러나 실제 운전과 골프를 하였을 때 이전 경험 수준의 수행을 보인다. 반면 순행성 기억상실증의 경우 새로운 기억을 형.. 2022. 6. 2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