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심리학

언어의 산출과 장애

by 온우주 2022. 7. 2.

 언어의 정보가 청자의 기억에 표상을 구성하는 과정이 이해라고 하면, 화자의 기억에 표상된 의미를 표현하는 과정을 산출이라 한다. 언어가 지니고 있는 상징적 의미는 이해와 산출의 두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두 과정이 연결고리처럼 순환하는 과정이 일어날 때 비로소 양자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언어의 산출 과정은 처리 방향에서 보면 이해 과정과 상반되며, 연구 방법에도 차이가 있다. 이해 과정은 참가자에게 자극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면 된다. 자극의 조작이 가능하고 그 결과를 반응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산출 과정은 언어 생성을 위한 생각이나 의도를 조작하기가 어렵다. 단지 화자가 산출한 언어의 내용을 통해 산출하고자 하는 사고의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만 가능하다. 산출 과정의 이러한 특성 때문에 초기에 산출 과정 연구는 주로 화자의 말실수 자료를 분석하는 정도에 머물렀다. 그러나 최근 말실수를 유도하는 방법을 적용한 실험적 방법이 적용되고, 뇌의 영상 기법을 적용한 연구도 제안되면서 산출 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언어는 정보를 단순히 이해하고 산출하는 과정에 더하여 심적 내용 자체를 표상하게 한다. 언어가 인지에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면서 뇌에는 언어만을 처리하는 영역이 만들어지게 되었고, 언어의 처리나 표상이 전문성을 가지면서 독립적인 처리 체계를 구성할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다. 뇌에서 언어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어야 이해와 산출의 과정도 가능하다. 그런데 언어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특정 언어 장애가 특정 뇌의 영역에 연관되는지, 그것에 대한 연구는 언어의 손상을 치료하는 장면에도 중요하지만 언어의 처리와 장애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언어 산출

 언어는 우리에게 복잡한 사고, 의식하지 못하는 의도, 미묘한 감정 등의 심적 내용을 효율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나는 물이 마시고 싶다.'는 생각을 상대방에게 전달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이런 생각을 생성하고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을까? 우리가 전혀 알지 못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에 여행을 갔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언어를 알지 못하면 내 생각을 언어로 생성하거나 표현, 혹은 전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이지만 언어 자체가 생각, 의도, 감정의 심적 내용을 직접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언어는 표현된 상징 단서를 통해 그 언어의 의미를 해석하게 하는 심적 과정을 수반한다. 언어의 이해와 산출에서 생각이나 사고로의 전환, 생각이나 사고의 표현이 중요한 요인이 되며 더욱이 두 과정이 서로 연결되어야만 성공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참고 : 인지심리학 / 학지사)

'인지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 신경 과학의 주의 연구2  (0) 2022.07.09
인지 신경 과학의 주의 연구1  (0) 2022.07.09
언어 산출  (0) 2022.06.25
문장 이해 과정  (0) 2022.06.25
단어 인지 과정의 모형2  (0) 2022.06.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