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지심리학

작업기억

by 온우주 2022. 6. 19.

 작업 기억은 단기 기억을 대체하여 제안된 기억 체계다. Baddeley의 작업 기억 모형에 따르면 작업 기억은 3가지 성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조음 루프' 또는 '음운 루프'로서 언어 이해와 청각적 되뇌기를 위해 속의 말을 잠시 유지한다. 둘째, '시공간 스케치판'으로서 시공간적 정보를 잠시 유지한다. 셋째, '중앙 집행 기로'서 주의 통제 및 판단 과정을 개시하고, 미래 행동 계획을 수립하며 언어 이해와 추론 활동을 주관하고 장기 기억으로부터의 인출 및 장기 기억으로 정보를 전이시키는 작업을 담당한다.

조음 루프

 조음 루프는 '음운 저장고'와 '조음 통제' 과정의 두 하위 성분으로 구성된다. 음운 저장고는 말소리 정보를 짧은 시간 동안 파지하며, 조음 통제 과정은 내적 되뇌기를 통제한다. 음운 저장고에 들어온 말소리는 조음 통제 과정에 의해 계속 유지될 수 있으며, 시각적 언어 정보는 조음 통제 과정에 의해 음운 부호로 변화되어 음운 저장고에 저장될 수 있다. 조음 루프를 지지하는 대표적인 증거로서 음운 유사성 효과, 조음 억제 효과, 단어 길이 효과, 무시된 말 효과 등을 들 수 있다. 음운 유사성 효과란 소리나 조음 특성에 있어 서로 유사한 항목들이 그렇지 못한 항목들보다 잘 기억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조음 억제 효과란 조음을 못 하게 함으로써 조음 루프의 작용을 방해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단어 길이 효과란 기억의 깊이가 단어 길이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물'과 같은 한 음절 단어들은 '바람개비'와 같은 네 음절 단어들보다 기억의 깊이가 큰데, 이는 조음 시간이 긴 단어일수록 내적 되뇌기에 소요되는 시간 역시 길어져서 조음 통제 과정에 의해 계속 음운 저장고에 유지될 수 있는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무시된 말 효과란 비록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무시된 말소리라 할지라도 즉각적 기억에 장애를 일으키는 효과를 말한다. 시각적으로 제시된 숫자들을 기억하도록 하면서 실험 참가자가 전혀 모르는 언어로 글을 읽는 소리를 함께 들려주면, 숫자에 대한 즉각적 기억 과제 수행이 떨어진다. 이는 무시된 말이 음운 저장고를 차지하여 숫자가 음운 저장고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시공간 스케치판

 시공간 스케치판은 시각적 정보와 공간적 정보를 함께 다루는 작업 기억 성분이다. Logie 등은 시공간 스케치판이 조음 루프와 독립적이라는 것을 밝혔다. 그들은 이중과제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실험 결과 암산 과제는 시각적 기억 과제 수행보다 글자 과제 수행에 훨씬 간섭을 일으켰지만, 심상 과제는 반대의 효과를 일으켰다.

중앙 집행기

 Baddeley는 이중 과제 방법을 사용하여 추론 과제 수행이 중앙 집행기에 의존함을 보여 주는 실험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한 실험에서 참가자들에게 추론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때 2차 과제로 조음 억제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였는데, 2차 과제 없이 추론 과제만 수행하는 통제 조건의 경우 문장 난이도가 클수록 반응 시간이 증가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2차 과제로 조음 억제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추론 시간이 약간 증가하였지만 전체 반응 시간 패턴은 변함이 없었다. 그러나 무작위적 숫자열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난이도가 높은 문장 추론 과제일수록 급격하게 반응시간이 증가하였다.

 

<참고 : 인지심리학 / 학지사>

'인지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이론  (0) 2022.06.19
장기기억  (0) 2022.06.19
단기기억  (0) 2022.06.19
다중기억이론  (0) 2022.06.19
기억 연구의 두 전통  (0) 2022.06.19

댓글